

미국 주요 항만들이 자동화를 추진하며 효율성과 비용 절감을 꾀하고 있으나, 생산성 저하와 노동조합 반발로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자동화 도입은 일부 운영비를 줄일 수 있지만, 완전 자동화는 노동권 침해 우려로 사실상 제한적이다. 노사는 자동화 도입 범위를 둘러싸고 협상을 이어가며, ‘기술과 노동의 공존’을 모색하고 있다.
쿠팡의 대만 진출에 이어, 국내 주요 벤더사인 샛별로지스틱스가 지난 4월 중순부터 현지에서 직배송을 시작하며 본격적인 해외 물류 운영에 나섰다. 현재 약 30명의 기사단을 운영 중이며, 쿠팡 물류 생태계의 글로벌 확장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쿠팡이 대만 로켓배송 인프라를 확대하는 가운데, 전략 벤더사인 모벤티스가 2025년 5월 현지에 첫 물류 거점을 개설했다. 모벤티스는 현재 20명 이상의 현지 배송기사를 운영하며, 쿠팡과 함께 대만 직배송 체계를 본격화하고 있다. 이번 진출은 국내 물류 파트너사의 첫 해외 운영 사례로, 향후 글로벌 물류망 확장의 전초기지 역할이 기대된다.
유럽연합은 2025년부터 디젤 트럭의 신규 등록을 제한하고, 주요 도시 중심으로 탄소중립 물류존(ZEZ)을 확대한다. DHL, DB Schenker 등 글로벌 물류기업은 전기밴·수소트럭 도입과 충전 인프라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EU는 2040년까지 무배출 트럭 전환을 목표로 CO₂ 규제를 강화하며, 물류업계 전반의 ESG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한국 스마트 콜드체인 시장은 AI, IoT,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연평균 10% 이상 성장하며 식품·의약품·바이오 산업에서 핵심 인프라로 부상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의 기술 통합 및 매출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표준화와 글로벌 인증 경쟁력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단순 냉장 물류를 넘어 데이터 기반 공급망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가운데, 한국은 아시아 중심의 글로벌 수출 시장에서 전략적 우위를 확보해가고 있다.
부산항이 AI와 메타버스를 결합한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 포트 실증에 돌입하며, 선박 입항 예측 정확도 79% 향상과 연간 약 730만 달러의 수익 효과를 입증했다. 해당 기술은 환경오염 저감, 안전 관리 강화, 운영 효율 극대화 등 전방위적 혁신을 이끌고 있다. 부산항은 이 시스템을 바탕으로 국내외 확산을 추진하며 글로벌 스마트 항만 경쟁에서 주도권 확보에 나서고 있다.
자율주행 트럭이 미국·유럽을 중심으로 상용 운행에 돌입하며 글로벌 물류산업에 구조적 변화가 시작됐다. 한국도 고속도로 전 구간 실증 허용 등 제도 기반을 확대하며 상용화를 향한 발걸음을 본격화하고 있다. 기술 발전과 함께 운전자 부족, 비용 부담을 해소할 대안으로 주목받지만, 제도 정비와 사회적 수용성 확보가 관건이다.
에어버스 A350F 화물기는 기존 대비 탄소 배출을 최대 40% 줄이며, 글로벌 항공물류 업계의 친환경 전환을 선도하고 있다. MNG항공을 비롯해 중동·유럽 항공사들이 잇따라 도입을 확정하며 시장 수요가 빠르게 확대 중이다. 다만 생산 지연과 공급망 이슈가 변수로 떠오르며, 장기적 대응 전략이 요구된다.
전국택배노조, 여름철 사고 예방 위해 전 터미널 안전 점검 요청 누수·감전·폭염 대비 부족 지적… 기본 설비와 응급조치 촉구 일부 현장선 이미 조짐 발생… 업계는 ‘가능한 범위 내 개선’ 반응 기후위기 대응으로 노동환경 개선 필요성 제기
창고 바닥에 나뉜 경로를 따라 상품을 운반하는 AMR(자동 이동 로봇) 실제 모습이다“창고 안에 사람은 없었습니다. 대신 로봇이 미끄러지듯 상자를 옮기고 있었죠.”지난주 방문한 수도권 한 물류센터 내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