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수천만 건에 달하는 고객 개인정보를 유출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정부가 해당 기업에 대한 과징금 부과와 보안 강화 명령을 내렸다. 최근 연달아 발생한 국내외 정보보안 사고 가운데 최대 규모라는 점에서, 통신 분야 전반의 보안 체계 전환이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번 유출 사고는 올해 4월 말부터 5월 초 사이 발생한 것으로, 공격자는 악성코드를 활용해 SK텔레콤 내부 시스템에 침입했고, 고객의 성명, 연락처, 일부 위치정보 등이 외부로 유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유출된 정보는 약 2,700만 건에 달하며, 피해 범위는 국내 성인 인구 절반 이상에 해당한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월 4일 긴급 조치에 나서며, SK텔레콤에 3천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다음과 같은 보안 강화 조치를 명령했다.
-분기별 보안 점검 및 보고 체계 구축
-전사적 보안 예산 증액 및 책임자 지정
-임직원 대상 사이버보안 교육 의무화
 |
SK T-Tower 본사 전경 사진 = SK텔레콤 제공 |
한편, SK텔레콤 측은 “피해 고객에게 별도 통보를 완료했으며, 향후 유사 사고 방지를 위한 보안 시스템 전면 개편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통신 업계 전반에 걸친 정보보안 체계의 구조적 재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국민 대다수가 이용하는 서비스 사업자에게는 “단순한 기술 대응을 넘어 신뢰 회복을 위한 진정성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