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월 9일, 미국의 한국산 제품 관세 유예 조치가 종료될 예정인 가운데,
한국 정부가 막판 협상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다.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최상목 산업부 장관이 7월 5일 미국으로 출국해
미국 무역대표부(USTR)와의 협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협상의 핵심은 자동차 부품, 철강, 전자부품 등 주요 수출 품목에 대한 관세 재부과 여부다.
“결론은 불투명하나, 실리 있는 타협 원해”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7월 3일 청와대에서 열린 긴급경제대책회의에서
“이번 협상의 결과가 한국 제조업과 무역 구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결론은 예측하기 어렵지만, 실리 있는 타협을 도출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미국이 자국 보호무역 정책을 유지하는 흐름 속에서,
우방국에 대한 관세 예외조치 연장 여부를 신중히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들 “재부과 땐 수출·고용 타격 불가피”
업계에 따르면, 미국이 관세를 재부과할 경우
한국의 연간 수출 중 최대 30억 달러 이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자동차 산업을 포함한 주요 고용 산업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일부 중소 수출기업은 “이미 선적을 멈춘 상황”이라며,
협상 결과에 따라 대규모 물류 재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
회의중인 이재명 대통령 사진: 대한민국 대통령실 제공 |
전문가 분석: "지정학보다 디테일 협상에 달렸다"
서강대 국제통상학과 이은정 교수는
“이번 협상은 단순한 정치적 논의보다, 품목별 이슈와 양국 산업의 맞물림을
얼마나 디테일하게 풀어낼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미국 무역대표부는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으며,
협상은 워싱턴 현지에서 7월 6~8일 사이 비공개 회담 형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