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미·브라질 외교 위기, 고관세 충돌 속 외교 지형 변화

트럼프 행정부의 최대 50% 관세에 브라질 WTO 제소·외교 다변화로 맞대응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관세 계획을 발표하는 모습 (출처: Getty Images via news article)
2025년 미국과 브라질의 외교 관계가 전례 없는 긴장 국면에 돌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월 브라질산 수입품에 대해 일괄 10%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7월에는 이를 최대 50%까지 확대하는 고율 관세 조치를 발표했고 8월 1일부터 전면 시행했다. 표면적으로는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브라질 전 대통령이자 트럼프의 정치적 동맹인 자이르 보우소나루에 대한 브라질 사법당국의 재판을 “정치적 탄압”으로 규정하며 압박 수단으로 관세를 활용했다는 해석이 우세하다.

브라질 정부는 즉각 대응에 나섰다. 8월 6일 세계무역기구(WTO)에 공식 협의 요청서를 제출하며, 미국의 조치가 최혜국 대우 원칙과 관세 상한 규정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루이스 이나시오 룰라 다 시우바 대통령은 직접 트럼프와의 통화를 배제하고, 대신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와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 등과의 양자·다자 협력을 강화하는 외교 다변화 전략으로 방향을 틀었다. 이는 미국과의 직접 충돌을 피하면서도 국제사회에서 외교적 입지를 넓히려는 계산으로 풀이된다.

경제적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많다. 브라질 전체 수출 중 약 36%만이 관세 영향권에 있으며, 항공기·에너지·오렌지 주스 등 주요 수출 품목은 이번 조치에서 제외됐다. 타격이 예상되는 품목은 커피, 육류, 과일, 의류·신발 등이지만, 브라질은 이미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수출 시장을 다변화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다.

정치적으로는 트럼프의 관세 압박이 오히려 룰라 정부의 결속을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국내 여론은 외부 압박에 맞서는 정부의 태도를 지지하는 분위기로 흐르고 있으며, 룰라 대통령의 정치적 정당성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미·브라질 양국 간 관계 악화뿐 아니라 BRICS 국가 간 결속과 대미 견제 흐름을 촉진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한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