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중국인 무비자 대방출!”…한국, 관광객 유치에 올인했다

2025년 9월 말부터 내년 6월까지, 중국 단체 관광객들이 비자 없이 한국을 방문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한국 정부가 관광산업 회복과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해 전격 발표한 조치로, 포스트코로나 이후 외국인 입국 절차 완화 흐름과도 맞물린다.

정부는 2025년 9월 29일부터 2026년 6월 30일까지 약 9개월간, 중국발 단체 관광객에 한해 비자 없이 한국 입국을 허용할 계획이다. 단, 개별 여행객이 아닌 여행사 연계를 통한 단체 관광에 한정되며, 입국 전 전자여행허가(K-ETA) 등 최소한의 절차는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결정은 오는 10월 경주에서 개최될 예정인 2025 APEC 정상회의와도 연계되어 있다. 한국 정부는 회의 기간 동안 경주와 인근 지역의 관광 활성화를 적극 도모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관광 정책 차원을 넘어선다. 최근 몇 년간 한·중 관계는 사드(THAAD) 배치, 문화 교류 제한 등으로 인해 갈등이 누적되어 왔다. 이에 한국은 외교적 해빙의 신호탄으로 ‘무비자 입국’이라는 실질적 유인을 제시함으로써, 중국과의 관계 개선 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경제적 측면에서 이 결정은 매우 전략적이다. 코로나19 이후 한국 관광산업은 큰 타격을 입었고, 특히 중국 관광객의 부재는 업계에 심각한 타격을 줬다. 과거 전체 외국인 관광객 중 약 30% 이상이 중국인이었을 만큼 그 비중은 압도적이었다. 하지만 팬데믹과 외교 갈등이 맞물리며, 해당 수치는 크게 감소한 상태였다. 이번 무비자 허용 조치는 다시금 중국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사실상의 유턴 정책이라 평가된다.

국내 여행업계는 이번 발표에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주요 여행사들은 중국 현지 네트워크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단체 패키지 상품 재정비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면세점, 호텔, 교통, 외식업계 등도 중국 관광객 유입에 대비해 관련 서비스와 인프라 점검에 나섰다.

다만, 무비자 허용이 단기적인 유인책에 그치지 않기 위해선 몇 가지 우려도 존재한다. 우선 불법체류 우려와 여행사 간 과잉경쟁, 가격 덤핑 등 부작용에 대한 사전 관리 방안이 요구된다. 과거 일부 사례처럼, 저가 패키지를 통해 입국한 후 일정에서 이탈하는 등의 문제가 재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당국은 여행사 등록 요건 강화 및 입국·이탈 모니터링 시스템 보완을 함께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문화체육관광부와 외교부, 법무부 등은 이번 정책에 발맞춰 '중국 관광객 전담 통합 지원팀'을 구성해 관광객 수용 태세를 점검하고 있으며, 특히 지역 관광지와의 연계를 통한 체류형 관광 활성화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이번 조치를 계기로, 코로나19 이후 침체에 빠져 있던 국내 관광산업이 활력을 되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동시에 이는 단순한 비자 정책을 넘어, 한·중 관계의 회복과 동북아 지역 내 외교적 흐름에도 의미 있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