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김여정, 남북 대화 전면 거부…이재명 정부 대북 정책에 ‘냉소적 평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여동생이자 노동당 중앙위 부부장인 김여정이 이재명 정부의 대북 화해 제스처에 대해 정면으로 비판하고, 향후 대화 가능성을 전면 부정하는 입장을 밝혔다. 남북 관계는 다시금 냉각기로 접어들 가능성이 커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허망한 달콤한 말장난”
김여정은 7월 27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문에서, 최근 윤석열 전 정권 이후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 조치 등 이재명 정부의 관계 복원 시도에 대해 “허망한 달콤한 말놀음”이라며 철저히 배척했다.

그녀는 특히 “남조선이 미국과 함께 군사훈련을 멈추지 않는 한, 남북 대화의 명분은 존재하지 않는다”며 남측 정부의 이중 행보를 비판했다.
남북관계, 조기 단절 조짐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후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서 남북 통신선 복원, 대북 방송 중단, 비무장지대 민간인 통제 완화 등 전향적인 제안을 이어왔다. 하지만 김여정의 발언으로 인해 북한 측은 이를 사실상 무시하거나 조롱의 대상으로 삼은 셈이 됐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북측이 오히려 남측의 태도를 ‘약함’으로 간주해 더 강경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며, 향후 대북 정책의 접근 방식에 대한 수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대화 의지 없다”는 북한…군사적 긴장 고조되나
전문가들은 이번 담화가 단순한 외교 수사 수준을 넘어서, 대남 비하와 무시 전략이 다시 강화되고 있는 신호라고 본다. 동시에 북미 간 외교를 우선시하면서 남한을 협상에서 배제하려는 북한의 기존 노선이 지속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한편, 미군과 한국군은 8월 예정된 을지프리덤실드(UFS) 연합 훈련을 앞두고 있는 만큼, 이번 담화가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국제사회, 신중 모드 유지
미국 백악관은 이번 담화에 대해 “북한의 반응은 예상된 수준”이라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고, 일본 정부는 “한반도 정세를 예의주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남한 정부는 당장은 별도의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대통령실 관계자는 “북측의 일방적 담화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차분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대북 기조의 틀은 유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김일성광장 건물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