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부산시, 2026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총회 유치 본격화… 글로벌 문화중심도시 도약 노린다

위 사진은 부산의 해동 용궁사로 부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총회 유치 시 ‘해양문화 중심 도시’로서 어필할 만한 상징적 장소
부산광역시가 2026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총회(World Heritage Committee Meeting) 유치를 위한 준비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시는 문화재청, 외교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 부처와 긴밀히 협조하며, 올해 하반기 중 유네스코에 공식 유치 제안서를 제출할 방침이다. 시는 이번 총회를 통해 ‘해양문화 중심 도시’로서의 정체성을 국제사회에 확고히 각인시키겠다는 전략이다.

■ 세계유산총회란?
유네스코 세계유산총회는 세계유산협약 당사국들의 연례 회의로, 문화유산·자연유산의 등재 및 보호, 관리방식 등에 대한 정책을 논의하는 자리다. 매년 세계 각국 정부대표단, 전문가, NGO, 유산 관련 국제기구 등이 참여하며, 유산 정책의 흐름을 좌우하는 권위 있는 국제 행사다. 특히 신규 세계유산의 등재 여부를 심의하고, 위험에 처한 유산에 대한 보호 대책을 논의하는 회의체로 알려져 있다.

만약 부산 유치가 확정된다면, 한국에서는 지난 2012년 경주에서 열린 '세계유산도시총회' 이후 14년 만에 관련 국제행사가 열리는 셈이다.

‘유라시아 관문 도시’ 부산의 차별화 전략
부산시는 “유라시아 관문 도시로서의 전략적 입지와 독창적인 해양문화 유산”을 유치 근거로 내세우고 있다. 특히 △감천문화마을 △근대역사문화공간(영도·중구 일대)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 개항 문화 △아세안문화원 △영화의전당 등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자산을 총회 연계 행사로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단순한 회의 장소 제공이 아닌, 지역 고유의 유산과 스토리를 세계와 공유하는 장으로 만들겠다”며 “도시 전체를 하나의 살아있는 문화 전시관으로 구현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치 효과: 관광, 외교, 지역경제 모두 기대
총회 유치에 따른 효과는 단순히 학술적 교류에 그치지 않는다. 시는 약 2,000여 명에 달하는 세계 각국 관계자들의 방문으로 인한 관광 수입과 국제회의 기반 산업의 성장, 그리고 부산의 브랜드 가치 상승을 동시에 기대하고 있다.

특히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경험을 바탕으로 국제행사 운영 역량을 내세우며, 실무 준비 및 의전 시스템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부산관광공사 관계자는 “총회 개최 시 대규모 국제 학술 및 문화행사가 병행되기 때문에 단기 경제 효과는 물론 장기적으로는 부산이 동북아 유산 정책 허브 도시로 떠오를 수 있다”고 전했다.

정부와 공동 대응… 하반기 유치 제안 공식화
현재 부산시는 문화재청, 외교부와 공동으로 유치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으며, 총회 개최 조건에 맞는 회의장 시설, 숙박 인프라, 통역 및 홍보 계획 등을 종합 검토 중이다. 세계유산센터에 제안서가 접수된 이후에는 회원국들과의 외교적 협의 및 홍보 활동이 유치 성공 여부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문화재청 고위 관계자는 “부산은 문화유산, 도시 인프라, 개최 의지 등 여러 조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며 “중앙정부 차원에서도 충분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