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물류업계, 노동력 부족과 비용 부담 속 ‘이중고’… 정부, 4.6조 지원책 가동

“중소 수출기업 대상 물류비 지원 확대… 노동력 대체 방안도 모색 중”
한국 물류업계가 심각한 인력난과 수출입 비용 상승이라는 이중고에 직면한 가운데, 정부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물류비 지원 대책을 본격화하면서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산업 전반에 걸쳐 인력 부족 문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물류·운송 분야 역시 예외가 아니다. 특히 창고 및 배송 현장은 고령화와 3D 업종 기피 현상이 맞물리면서, 구인난이 장기화되는 추세다. 국내 한 민간 보고서에 따르면, 2033년까지 산업 전반에서 약 82만 명의 노동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물류 시스템 운영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은 한국만의 문제는 아니다. 유럽연합(EU) 역시 운송·보관업에서의 인력난을 공급망 병목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으며, 대체 인력 확보가 어려운 현실 속에서 자동화 및 시스템 고도화를 적극 장려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국제 물류비 상승과 미국발 관세 이슈까지 겹치면서, 수출 중소기업들의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대응해 정부는 최근 총 4조 6천억 원 규모의 ‘물류비 지원 패키지’를 발표했다. 이 정책에는 수출입 운송비 보조, 유동성 지원, 금융·보험 상품 확대, 통관 절차 간소화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미국향 수출 기업의 관세 리스크 대응이 핵심 목적 중 하나로 꼽힌다.

실제 통계에 따르면, 전체 수출기업 중 약 17%를 차지하는 중소기업(SME)들은 미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편이며, 이들 가운데 80% 이상이 물류비와 관세 부담을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고정비 상승과 인력 부족이라는 구조적 문제 속에서 중소업체가 별다른 대책 없이 버티기는 어렵다”면서, “이번 정책이 실제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효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일부 기업들은 인력난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주행 물류 로봇, 자동 분류 시스템, AI 기반 배송 경로 최적화 솔루션 등을 시험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초기 투자비용 부담이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결국, 한국 물류업계는 인력과 비용이라는 두 축의 불확실성 속에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민간의 기술 혁신이 동시에 요구되는 전환기에 놓여 있는 셈이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