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호주 총리, 중국 방문 앞두고 ‘침묵의 외교’ 논란…인권 의제는 제외

경제협력 강화 목적의 외교 행보…중국 내 인권 문제는 의도적 회피?
앨버니지 총리가 시진핑 주석과 함께 악수하는 모습
© Australian Government
2025년 7월 11일, 베이징발 – 호주의 앤서니 앨버니지(Anthony Albanese) 총리가 7월 12일 중국을 공식 방문할 예정인 가운데, 이번 외교 일정에서 중국 내 인권 문제를 언급하지 않겠다는 입장이 알려지며 국내외 비판 여론이 일고 있다.

앨버니지 총리는 이번 방문에서 양국 간 무역 및 에너지 협력, 첨단 기술 산업의 공동 투자 등이 핵심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인권 탄압, 홍콩 민주주의 탄압, 언론 자유 문제 등은 공식 의제에서 배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실리 외교인가, 침묵의 방조인가”
호주 정부 측은 이번 방문의 목적이 “양국 간 실질적 협력 회복과 미래 전략산업에서의 상호 이익 증진”에 있다고 밝혔으며, 구체적으로는 호주산 철광석과 리튬, 청정 수소 분야의 수출 확대 및 중국의 반도체 장비 수입 규제 완화 등이 논의될 수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인권 단체들과 일부 야당 정치인들은 이번 외교가 “실리 외교”를 넘어서 “도덕적 회피”로 비칠 수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국제 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는 “중국 내 인권 문제를 외면한 채 경제적 이득만을 추구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민주주의 가치에 대한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1. 중국 정부와의 관계 개선 시도, 그러나 균형 외교는 과제
이번 방문은 2019년 이후 호주와 중국 간 악화된 관계를 본격적으로 회복하기 위한 시도로 해석된다. 당시에는 화웨이 장비 사용 금지, COVID-19 기원 조사, 중국산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 등이 맞물리며 외교·무역 갈등이 고조되었다.

중국 정부도 이번 회담을 통해 호주와의 관계 정상화를 모색하는 분위기다. 특히 리창 총리와의 고위급 회담을 통해 향후 지정학적 긴장 완화 및 다자간 협력 확대가 주요 테마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문가들은 중국과의 우호적 관계를 추구하더라도 ‘침묵을 대가로 한 협력’은 국제사회에서 신뢰를 잃을 수 있다며, 앨버니지 총리가 인권 관련 입장을 어떻게 표현할지가 외교적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