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매일 오네”의 명암…CJ대한통운 주 7일 배송 전환, 노동 현장선 ‘숨 고를 틈 없다’

CJ대한통운이 2025년부터 ‘매일 오네(O‑NE)’라는 브랜드를 내세워 주 7일 배송 체제를 본격 가동하면서, 택배 업계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회사 측은 전국적인 배송 서비스 확대를 통해 소비자의 편의성과 지방 유통 활성화를 동시에 꾀하겠다는 입장이지만, 현장 노동자들 사이에서는 과로 우려와 인력 운영 문제에 대한 불안이 제기되고 있다.

‘매일 오네’ 서비스는 지난 1월부터 수도권과 일부 대도시에서 시범적으로 운영됐으며, 현재는 40개 시·군, 130여 개 읍·면 지역으로 확대된 상태다. CJ대한통운은 농어촌 지역의 판로 확대와 신선식품 유통 지원 등을 명분으로 삼고, ‘주말 배송’에 대한 이용자 수요 증가에 응답한 조치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택배 노동자들의 현실은 녹록지 않다. CJ대한통운의 기사들은 대부분 개인사업자 신분으로 계약되어 있어 근로기준법의 보호를 받지 못한다. 휴일 근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고, 업무량에 따라 수입이 결정되는 구조 탓에 실질적인 주휴일도 확보하기 어렵다. 특히 주말 배송이 도입되면, 주 초반 물량 증가와 작업 피로도가 겹치면서 업무 강도가 이전보다 더 높아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 6월 3일, 제22대 국회의원 총선 당일 주요 택배사들이 모두 배송을 일시 중단하는 이례적인 조치가 있었다. 쿠팡, CJ대한통운, 한진, 롯데, 로젠, 우체국 등 국내 대부분의 택배사업자가 선거일에 맞춰 주간 배송을 멈춘 것이다. 참정권 보장 차원에서 이뤄진 이 결정은,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는 택배 기사들에게 최소한의 ‘쉼’을 허용한 상징적 조치로 평가된다.

그러나 문제는 그 이후다. 선거 다음 날인 6월 4일에는 밀린 배송 물량이 한꺼번에 몰리며 업무 강도가 급격히 증가했고, 일부 기사들은 기존보다 이른 시간에 출근해 늦은 시간까지 작업을 마쳐야 했다. 택배 노동자들이 당일 배송과 정시 배송을 모두 요구받는 상황에서, 하루의 휴식이 오히려 이틀 치 노동으로 이어지는 구조적 모순이 여전한 것이다.

CJ대한통운은 이에 대해 “주 5일 근무 원칙을 유지하면서도 주말 배송은 보조 인력을 통해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실제로 일부 대리점에서는 아르바이트 인력과 주말 전담 기사를 별도로 운영하는 방식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이런 보완책이 얼마나 일관되게 작동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안을 단순한 배송 체계의 변화가 아니라, 택배 산업 전반의 구조적 재편과 관련된 문제로 본다. 쿠팡이 주 7일 배송을 앞세워 시장을 장악하면서, 기존 택배사들도 이에 맞서는 서비스 고도화 전략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그에 따른 비용과 부담이 결국 기사들에게 전가되고 있다는 지적도 함께 나온다.

법적 제도 개선에 대한 요구도 커지고 있다. 특수고용 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 강화, 휴식 보장, 참정권 확보 등은 이제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제로 여겨진다. 노동계는 ‘매일 배송이 아닌 매일 과로’가 되는 구조를 막기 위한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CJ대한통운의 ‘매일 오네’는 고객의 문 앞으로 더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선언이지만, 그것이 노동자들에게 또 다른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현장 운영 전략과 제도 개선이 병행되어야 한다. 더 많은 배송이 더 나은 삶을 의미하려면, 그 뒤에 선 사람들의 삶 또한 함께 돌아봐야 할 시점이다.
CJ 대한통운 CI/사진제공=CJ대한통운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