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 운송 규제 강화, 글로벌 물류망 흔들다
    • 운전자 휴식 의무제 도입으로 물류 지연·비용 증가… 국내 소비재 공급에도 여파 가능성
    • 출처 Vietnam News  Vietnam Tightens Road Transport Regulations to Improve Safety
      출처: Vietnam News – Vietnam Tightens Road Transport Regulations to Improve Safety
      글로벌 물류망의 중심지 중 하나인 베트남에서 새 교통법이 시행되며 물류업계가 혼란에 빠졌다. 베트남 정부는 2025년 1월부터 운전자의 근로시간을 엄격히 제한하고, 4시간 연속 운전 후 최소 15분 이상 휴식하도록 규정한 새로운 운송노선법을 도입했다. 표면적으로는 도로 안전과 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물류 지연과 비용 부담이 급격히 커지고 있다.

      로이터(Reuters)에 따르면, 이번 규제 시행 이후 베트남 내 주요 운송업체의 약 80%가 공급망 지연을 경험했으며, 운송 효율이 최대 30%까지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다른 조사에서는 운송비가 평균 15~20%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현지 컨설팅사 CEL Consulting은 “새 교통법으로 인해 주당 운전시간이 48시간으로 제한되고, 장거리 운송 시 운전자 교대가 필수화됐다”며 “이로 인해 인력 부족이 심화되고 운행 단가가 상승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베트남은 삼성전자, 애플, 나이키 등 글로벌 제조기업의 생산기지가 집중된 핵심 수출국이다. 따라서 해당 규제의 여파는 단순히 현지 운송 문제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 공급망에 파급효과를 미치고 있다. 생산된 부품과 완제품이 항만으로 제때 이동하지 못하면서 선적 일정이 지연되고, 이는 다시 유럽·미국·한국 등 주요 시장의 납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물류 전문가들은 이번 사안을 ‘규제형 병목(Bottleneck by Regulation)’ 현상으로 규정한다. 안전 강화를 위한 제도적 개편이지만, 인프라와 인력 확보가 병행되지 않아 물류 흐름 전체가 느려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동남아시아는 이미 운전자 부족 문제가 심각한 지역으로, 규제 강화가 인력난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소비자 입장에서도 이 변화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글로벌 운송비 상승과 납기 지연은 결국 제품 가격과 배송 속도에 반영된다. 특히 베트남산 전자제품, 의류, 생활용품을 수입·유통하는 국내 기업들은 운송 일정 조정과 추가 비용 부담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운송 효율과 노동안전의 균형이 글로벌 물류의 핵심 과제”라고 지적한다. 한 물류연구원 관계자는 “각국이 안전을 이유로 도입하는 규제는 타당하지만, 물류 인프라 개선 없이 규제만 강화되면 전 세계 공급망의 신뢰성이 흔들릴 수 있다”며 “기업들은 운송노선 다변화, 자동화 물류센터 도입, 지역별 드라이버 풀 확보 등을 통해 리스크를 분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베트남의 교통 규제 강화는 한 국가의 정책 변화가 전 세계 공급망에 어떤 파급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물류는 이제 한 나라의 문제가 아니라, 서로 연결된 경제의 혈관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증명하고 있다.
    Copyrights ⓒ 더딜리버리 & www.thedelivery.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더딜리버리로고

대표자명 : 김민성 , 상호 : 주식회사 더딜리버리 , 주소 : 미사강변한강로 135 나동 211호
발행인 : 김민성, 편집인 : 김대진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민성 , 신문등록번호 : 경기, 아54462
Tel : 010-8968-1183, Fax : 031-699-7994 , Email : tdy0528@naver.com, 사업자등록번호 : 430-86-03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