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배달의민족과 손잡고 사회적 고립 상태에 있는 청년들을 지원하는 새로운 캠페인을 출범시켰다. 이번 사업은 장기간 사회와 단절된 채 고립 생활을 이어가고 있는 청년층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다시 사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캠페인은 전국적으로 확대되는 ‘청년 은둔 문제’에 대한 정부 차원의 첫 대규모 민관 협력 사례로 평가된다. 복지부는 배달의민족의 플랫폼을 활용해 이용자들이 손쉽게 참여할 수 있는 사회공헌 구조를 마련했다. 앱 화면에서 캠페인 참여를 유도하는 배너를 클릭하면 고립청년 지원 관련 정보, 상담 채널, 자가 진단 도구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또한, 제보나 상담을 통해 확인된 대상자는 지역사회 복지센터 및 전문기관으로 연계되어 심리상담, 의료 지원, 직업훈련, 사회적 관계 회복 프로그램 등을 단계별로 제공받는다. 이를 통해 단순한 일회성 복지 지원이 아니라, 장기적 사회 복귀와 자립을 돕는 지속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사업의 배경으로 최근 급격히 늘어난 청년층의 사회적 고립 문제를 들고 있다. 취업난과 주거 불안, 정신적 스트레스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청년층의 고립 기간이 길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경제활동 인구 감소와 정신건강 악화라는 사회적 파급효과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배달의민족은 단순한 기업 후원에 머무르지 않고, 캠페인 홍보와 플랫폼 기술을 결합한 방식으로 참여한다. 주문 화면과 앱 내 팝업을 통해 고립청년 문제를 알리고, 이용자들이 자연스럽게 사회문제 해결에 동참할 수 있는 참여 구조를 만든다. 복지부와 기업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온라인 상담창구도 개설되어, 청년 본인뿐 아니라 가족이나 지인도 쉽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캠페인이 사회적 낙인을 줄이는 데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은둔형 외톨이’라는 부정적 이미지 대신, 회복과 재도전을 위한 사회적 지원이라는 메시지를 강조함으로써 청년들이 스스로 문을 열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복지부는 이번 캠페인을 연말까지 시범적으로 운영한 뒤, 성과를 분석해 전국 단위의 상시 지원 체계로 확대할 계획이다. 참여 기업과 지자체의 범위도 넓혀, 고립된 청년이 단 한 명도 복지망에서 놓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목표다.
한 관계자는 “이번 캠페인은 정부가 일방적으로 손을 내미는 방식이 아니라, 시민과 기업이 함께 사회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새로운 모델”이라며 “은둔청년 지원 정책이 복지의 사각지대를 줄이고 사회통합을 이끄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