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말,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 전 세계 300여 개 도시의 시장들이 모였다. 이들은 ‘C40 Cities Leadership Group’이 주관한 국제 기후회의에서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도시 간 공동선언문을 채택하며,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1.5도 이하로 억제하기 위한 도시 차원의 실질적 행동계획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서울·도쿄·파리·런던·뉴욕·리우·요하네스버그 등 세계 주요 대도시가 참여했으며,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이 정치적 갈등과 이해관계로 지연되는 상황 속에서 “국가보다 도시가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게 공유됐다.
회의를 주재한 리우 시장은 “기후위기는 더 이상 미래의 문제가 아니라 지금 이 순간의 도시 문제”라며, “도시 정부가 가진 정책 도구—건축 규제, 대중교통, 에너지 인프라, 녹지계획을 총동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C40 Cities 측은 최근 공개된 과학자들의 분석을 인용하며 “지난 1년 동안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평균보다 3배 긴 폭염 월(heatwave month)’을 경험했다”고 지적했다. 이는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 상승과 열섬현상이 결합하면서, 도시 지역이 기후변화의 최전선(frontline)으로 떠오르고 있음을 의미한다.
공동선언문은 도시정부가 향후 5년 내 달성해야 할 핵심 목표로 도심 녹지·그린루프(roof) 면적 30% 확대,노후 건물의 에너지 효율 리노베이션 의무화,재생에너지 전환율 60% 달성,도심 냉방 인프라 개선 및 폭염 취약계층 보호 시스템 구축을 포함했다.
이번 회의는 오는 12월 브라질 벨렝에서 열릴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의 사전 무대 성격을 띠고 있으며, 도시정부가 중앙정부의 협상과는 별도로 ‘도시 네트워크 외교(UrbanDiplomacy)’를 통해 독립적인 감축 노력을 약속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C40 Cities 사무총장은 “국가 간 협상이 멈춰도, 도시의 실천은 멈추지 않는다”고 강조하며, “지구의 절반 이상 인구가 도시에 살고 있는 지금, 기후위기 대응의 주체는 정부가 아니라 도시 시민과 시장들”이라고 말했다.
이번 선언은 기후 거버넌스의 중심축이 점차 중앙에서 지방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온난화의 영향이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직접적으로 나타나는 곳이 바로 도시이기 때문이다.
  | 
| 출처: C40 Cities (Press Ima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