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출처: Global Carbon Atlas, “The Global Carbon Cycle 2023 Update” (CC BY-NC-SA 4.0) 전 세계 과학자들이 잇따라 경고음을 내고 있다.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1.5도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인류가 사용할 수 있는 탄소 배출 여력, 이른바 ‘탄소 예산(carbon budget)’이 단 2년 남짓밖에 남지 않았다는 것이다. 국제학술지 Earth System Science Data와 Carbon Brief 분석에 따르면, 전 지구적으로 매년 약 400억 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고 있으며, 이를 감안할 때 남은 허용 배출량은 약 800억 톤 수준으로 추정된다. 현재 추세가 유지된다면 2027년 이전에 탄소 예산이 완전히 소진될 가능성이 높다. 탄소 예산은 기후과학에서 ‘임계 온도(1.5 °C 또는 2.0 °C)’를 넘지 않기 위해 배출할 수 있는 누적 이산화탄소의 총량을 의미한다. 이 개념은 2015년 파리협정 이후 국제 기후정책의 기준이 되었으며, 국가별 감축 목표와 배출권 거래제의 근간을 이룬다. 문제는 실제 배출량이 줄지 않고 오히려 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항공·해운 부문의 국제 운송 연료 소비, 석유화학 중심의 에너지 수요 회복, 산불과 열대우림 훼손에 따른 탄소 배출이 동시에 겹치면서 2024년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후 모델링 연구진은 현 추세가 지속될 경우, 1.5도 목표를 초과할 확률이 80% 이상이라고 전망한다. 이미 2023년 평균기온은 산업화 이전 대비 1.48도 상승했고, 2024년은 잠정치로 1.52도를 기록한 것으로 보고됐다. 이는 단기적인 엘니뇨 효과를 고려하더라도 구조적 온난화가 이미 임계선을 넘어섰다는 의미다. 국제기후변화정부간협의체(IPCC)는 탄소 예산 소진 이후에도 온난화 억제를 위해 ‘순배출 제로(Net Zero)’ 달성을 서두르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해수면 상승과 극한기후 빈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경고한다. 1.5도 상승을 넘어 2도에 도달할 경우, 인류가 직면할 피해는 경제적 비용을 넘어 생태계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산호초의 99% 이상이 소멸하고, 아시아·아프리카 지역의 식량 생산량이 급감하며, 한반도를 포함한 중위도 지역에서도 폭염·폭우·한파의 진폭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전문가들은 탄소 예산의 개념을 단순한 통계가 아닌 “지구 시스템의 생명선”으로 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런던기후연구소(LSE Grantham Institute)의 한 연구원은 “현재의 배출 속도는 안전선이 아니라 추락선에 가깝다”며 “감축 정책의 속도와 범위를 동시에 높이지 않으면 1.5도는 역사적 이정표가 아니라 실패의 상징으로 남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엔은 2025년 하반기 열릴 COP30 브라질 회의에서 각국의 새로운 국가결정기여(NDC)를 상향 조정할 것을 요구할 예정이다. 회의 핵심 의제는 ‘1.5도 목표 유지 가능성’과 ‘글로벌 감축 의무 강화’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주요 산유국과 일부 신흥국은 여전히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지 못하고 있어, 실질적인 감축 합의가 도출될지는 불투명하다. 탄소 예산이 사라지는 속도는 인류의 대응 속도보다 빠르다. 결국 1.5도 목표의 운명은 기술이 아니라 정치적 의지와 사회적 합의의 속도에 달려 있다. |
대표자명 : 김민성 , 상호 : 주식회사 더딜리버리 , 주소 : 미사강변한강로 135 나동 211호
발행인 : 김민성, 편집인 : 김대진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민성 , 신문등록번호 : 경기, 아54462
Tel : 010-8968-1183, Fax : 031-699-7994 , Email : tdy0528@naver.com, 사업자등록번호 : 430-86-03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