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류비 상승의 그림자, 소비자 가격에 번지는 파장
    • 운임·연료비·인건비·규제비 등 물류비용 상승이 소비재 가격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지는 구조
    • 출처 The Business Research Company  Freight and Logistics Global Market Report
      출처: The Business Research Company – Freight and Logistics Global Market Report
      글로벌 물류비용이 다시금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해상 운임과 연료비, 인건비, 항만 규제비용이 동시에 압박을 가하면서 기업들은 비용을 전가하고 있으며, 그 결과가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는 현상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물류비용 구조의 변화가 단순한 산업 문제를 넘어 생활물가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시점에 이르렀다”고 진단한다.

      국제물류 전문매체 《DC 벨로시티(DC Velocity)》는 2025년 발표한 ‘State of Logistics Report’에서 미국 기업의 연간 물류비용이 약 2조 5,800억 달러로 전년 대비 5%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특히 연료비와 인건비 상승, 항만 및 운송 규제비용 확대를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실제로 해상 컨테이너 운임은 항로별로 최대 30% 이상 변동하며 안정세를 찾지 못하고 있고, 운송사들은 디젤 가격 상승분을 상쇄하기 위해 연료 할증료(fuel surcharge)를 인상하고 있다.

      운송비뿐 아니라 인건비 역시 물류비 증가의 핵심 요인이다.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서 운송 인력 부족이 지속되면서 인건비와 인센티브 구조가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각국의 환경규제 강화로 친환경 선박 전환, 탄소배출권 구입, 항만 이용료 인상 등의 비용이 더해지며 기업들의 부담은 누적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비용 증가는 결국 제품 단가에 반영되어 소비자 가격을 밀어 올리는 압력으로 작용한다.

      영국의 경제 전문지 《더 가디언(The Guardian)》은 2025년 1월호에서 “무역 전문가들은 물류비용 상승이 올해 소비자 가격을 최대 20%까지 끌어올릴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온라인 소매업계에서는 ‘무료 배송’ 정책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들이 물류비 상승을 이유로 무료배송 기준을 상향하거나 배송비를 별도로 부과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한편, 무역 분쟁과 항만 규제비용 역시 가격 변동의 또 다른 원인으로 지목된다. 로이터통신은 “중국과 미국 항만의 수수료 인상과 물류 혼잡이 화물 흐름을 교란시키며 운임 상승을 유발하고 있다”고 전했다. 《뉴욕포스트(New York Post)》 또한 “중국–미국 무역 휴전 종료를 앞두고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수입 물량을 늘리면서 해상 운송비가 두 배 가까이 급등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현상은 단기적으로 수입품 가격 상승,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물류비용 상승을 단순한 비용 문제가 아니라 소비자 부담 전이(cost pass-through) 현상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한다. 기업이 일정 수준의 물류비를 자체 흡수하더라도, 비용 압박이 지속되면 결국 소비자 가격에 반영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생활용품, 전자제품, 식료품 등 글로벌 공급망 의존도가 높은 품목일수록 가격 변동 폭이 커질 수 있다.

      결국 물류비는 생산자와 소비자를 잇는 실질적인 비용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운송사들의 운임 인상, 연료비 변동, 인건비 상승, 규제비용 확대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소비자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물류비 상승의 최종 부담자가 되고 있다. 물류망이 글로벌 경제의 혈관이라면, 그 안의 비용 압력은 이제 가계 지출이라는 말초까지 닿고 있다.
    Copyrights ⓒ 더딜리버리 & www.thedelivery.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더딜리버리로고

대표자명 : 김민성 , 상호 : 주식회사 더딜리버리 , 주소 : 미사강변한강로 135 나동 211호
발행인 : 김민성, 편집인 : 김대진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민성 , 신문등록번호 : 경기, 아54462
Tel : 010-8968-1183, Fax : 031-699-7994 , Email : tdy0528@naver.com, 사업자등록번호 : 430-86-03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