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밤, 한·미 ‘빅딜’ 뜬다? 이재명–트럼프 첫 회담서 관세·방위비·‘MASGA’ 판 뒤집기
    • 워싱턴에서 8월 25일(현지)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이 열렸다. 회담은 정오 직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시작해 업무 오찬으로 이어졌고, 통상·안보·공급망을 한데 묶는 큰 틀의 조정이 목표로 제시됐다. 회담 시점과 형식이 확정된 뒤 한국 측 대표단은 ‘동맹 현대화’라는 키워드 아래 관세 문제의 후속 정리, 방위비·연합운용 논점의 관리, 북핵 대응의 단계적 로드맵을 패키지로 다루는 일정을 준비해 왔다. 이 대통령은 출국길·기내 간담회에서 “국민이 실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하며 과도한 긴장보다 실무적 접점을 찾겠다는 기조를 드러냈다.

      통상 분야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변화는 ‘MASGA’로 불리는 조선 협력 구상이다. 요지는 한국의 조선 기술과 생산 역량을 미국 조선소 현대화·확충에 연결해 군수·상선·정비(MRO) 생태계를 함께 손보자는 것으로, 대규모 투자·금융 묶음과 공동 생산·정비 같은 실행 메뉴가 거론된다. 미국 내 인력·설비 병목과 규제라는 현실적 제약이 분명하지만, 그만큼 ‘한국과의 분업’이 해법이 될 수 있다는 판단이 양측에서 공유되고 있다. 관세 이슈는 지난달 큰 틀의 조정으로 급한 불을 껐지만, 실제 적용 범위와 예외, 전환 일정 같은 세부는 이번 회담 이후 실무 라운드에서 더 다듬어야 한다.

      안보 의제에서는 방위비 분담과 주한미군 운용의 ‘유연성’이 재점검 대상이다. 한국은 대비태세와 동맹 신뢰를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조정·보완을 협의하되, 국내 경제·산업 영향이 큰 통상 사안과의 연계가 과도해지지 않도록 구분하겠다는 태도다. 북핵 문제는 일괄타결식 접근보다 단계적 조치와 대화 재가동의 조건 설정이 현실적이라는 점에서, 공동성명에는 원칙과 경로만 담기고 구체 수치·일정은 후속 협상으로 넘겨질 가능성이 크다.

      이번 회담은 한·미·일 공조와 대중(中) 관계의 균형에도 영향을 준다. 한국은 회담 직전까지 주변국과의 소통을 병행하며 긴장 관리 신호를 보냈고, 워싱턴 도착 이후에는 동포 간담회 등 외교 이벤트를 최소화한 채 정상외교에 집중하는 모양새를 취했다. 회담 이후엔 공동발표 형식의 메시지가 예고돼 있는데, 문안의 구체성보다 후속 캘린더—예컨대 조선·방산 MRO 파일럿 착수 시점, 공급망 협의체 정례화, 관세 세부지침 확정 일정이 실제 시장과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수 있다.

      국내 산업계의 계산은 복합적이다. 조선·해양 장비 업계는 미국의 조선 역량 재건 과정에서 공동 생산·정비 물량과 기술 표준 협력이 늘어날 경우 중장기 수주 기반이 넓어진다고 본다. 반면 인력·자본이 해외로 과도하게 분산될 때 국내 생산 라인의 숙련 유지와 인력 양성에 공백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관세·안보 패키지 협상과 산업 협력의 속도·범위를 어떻게 조절하느냐, 그리고 국내 보완책(인력 양성·공정 고도
    Copyrights ⓒ 더딜리버리 & www.thedelivery.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더딜리버리로고

대표자명 : 김민성 , 상호 : 주식회사 더딜리버리 , 주소 : 미사강변한강로 135 나동 211호
발행인 : 김민성, 편집인 : 김대진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민성 , 신문등록번호 : 경기, 아54462
Tel : 010-8968-1183, Fax : 031-699-7994 , Email : tdy0528@naver.com, 사업자등록번호 : 430-86-03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