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 5년, 기온이 새 기록을 만들 가능성 — WMO 예측과 그 의미
    • 세계기상기구(WMO)가 2025–2029년을 대상으로 발표한 최신 연간·10년 단위 기후 업데이트는 향후 5년 동안 지구 평균기온이 기록적 수준을 유지하거나 더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WMO는 이 보고서에서 “2025–2029년 5년 평균이 산업화 이전(1850–1900 기준) 대비 1.5℃를 초과할 확률이 약 70%”라고 제시했고, 이 기간 중 적어도 한 해가 1.5℃를 넘을 확률은 약 86%에 달한다고 밝혔다. 또한 적어도 한 해가 2024년의 최고기온 기록을 갱신할 가능성은 매우 높으며, 극히 낮지만 2℃에 근접하는 연간 값이 관측될 가능성(백분율로 약 1% 내외)도 보고서가 제시한 범위 안에 들어왔다. 

      이런 수치들은 단순한 통계적 수치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IPCC(기후변화에관한정부간패널)의 종합 평가에서 이미 밝혀진 바대로, 지구 평균기온이 추가로 소수점 한 자리씩 오를 때마다 폭염·가뭄·극한강수·해빙·해수면 상승 등 기후영향의 빈도와 강도는 비선형적으로 악화된다. 즉 WMO의 ‘5년 내 1.5℃ 초과 가능성’ 예측은 단기적으로 극한기후 사건의 증가와 사회경제적 부담의 가중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실질적 리스크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측이 현실화될 경우 기대되는 영향은 다층적이다. 첫째, 폭염의 강도·빈도 증가로 인한 인명 피해·건강 악화와 노동생산성 저하가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둘째, 가뭄과 강우 패턴 변화는 식량 생산과 물 관리에 즉각적인 부담을 준다. 셋째, 해빙과 빙붕 변화는 해수면 상승과 연계되어 연안·섬 지역의 침수 위험과 장기적 거주지 축소를 촉발할 수 있다. 넷째, 기후 충격의 증가는 보험·재정 부담, 공급망 교란, 에너지 수급 불안정 등을 통해 경제 전반에 파급된다. 이러한 영향들은 이미 관측되는 기후변화 영향과 일치하며, 단기간 내 정책·인프라·사회적 적응을 촉구하는 현실적 근거가 된다. 

      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한계와 불확실성도 분명히 해야 한다. WMO의 예측은 다양한 기후모델, 대기·해양 관측 데이터, 자연 변동성(예: 엘니뇨·라니냐) 등을 종합한 확률적 전망이다. 따라서 “반드시 1.5℃를 영구적으로 돌파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단기간(특정 연도 혹은 5년 평균) 동안 일시적으로 그 수준을 초과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장기적인 ‘지속적’ 온도 수준을 낮추려면 전 지구적 온실가스 배출 저감과 구조적 전환이 필요하다. 모르면 모른다 — 즉, 예측의 수치 자체는 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산물이나, 그 결과의 지역별·시기별 구체적 양상은 모델 가정·자연변동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정책적·실무적 함의는 분명하다. 단기적으로는 폭염 경보 체계 강화, 의료·노동·농업 분야의 적응 조치(예: 노동시간 조정·냉방·급수·농업 시기 조정), 기반시설의 기후복원력(resilience)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온실가스 배출 경로를 빠르게 바꾸어야 하며, IPCC가 제시한 ‘탄소배출 봉쇄 및 순제로(넷제로) 시나리오’의 시간표(예: 2030년대 전후 배출 급감, 2050년경 순배출 제로 등)를 맞추기 위한 정책·기술·금융전환이 요구된다. 이 과정에서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의 보호와 국제적 기후재정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점도 WMO·IPCC 보고서와 과학계의 일관된 권고다. 

      언론·사회적 대응 차원에서는 몇 가지 실무 원칙을 권고한다. 첫째, ‘확률 예측’의 의미를 정확히 전달해야 한다: 숫자는 위험의 크기를 보여줄 뿐 절대적 예언이 아니다. 둘째, 단기 예측(5년 이내)과 장기 목표(세기 단위 제한)를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셋째, 과학적 불확실성은 정책 지연의 근거가 될 수 없으며, 오히려 불확실성이 클수록 ‘예방적·적응적’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는 관점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별 영향과 사회경제적 취약성은 매우 상이하므로 중앙정부·지자체·민간 부문이 역할을 분담해 맞춤형 대응을 설계해야 한다. 

       WMO의 최신 예측은 ‘기후 리스크가 곧 현실화될 수 있다’는 경보이며, 그 경보는 과학적 근거 위에 있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재앙이 확정적’인 것은 아니다 — 예측에 내재된 불확실성은 존재한다(모르면 모른다). 그러나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야말로 예방·적응·감축의 행동을 지금 당장 강화해야 한다는 점은 확실하다. 이 문제는 단순히 환경정책의 문제가 아니라 공중보건·경제·안보·도시계획 등 전사회적 과제를 재구성하는 사안이며, 행동의 지체는 영향을 확장시킬 뿐이다.
      이미지 출처 NOAA Climategov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NCEI
      이미지 출처: NOAA Climate.gov /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NCEI)
    Copyrights ⓒ 더딜리버리 & www.thedelivery.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더딜리버리로고

대표자명 : 김민성 , 상호 : 주식회사 더딜리버리 , 주소 : 미사강변한강로 135 나동 211호
발행인 : 김민성, 편집인 : 김대진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민성 , 신문등록번호 : 경기, 아54462
Tel : 010-8968-1183, Fax : 031-699-7994 , Email : tdy0528@naver.com, 사업자등록번호 : 430-86-03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