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수면 상승, 도시의 경고등이 켜졌다
    • 지구의 바다는 조용히, 그러나 꾸준히 도시를 향해 밀려오고 있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과 세계기상기구(WMO)에 따르면, 2025년 현재 전 세계 평균 해수면은 산업화 이전 대비 약 21센티미터 상승했다. 특히 지난 30년간 상승 속도는 20세기 평균의 세 배를 웃도는 수준으로, “4,000년 만의 가장 빠른 해수면 상승”이라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이 수치는 단순한 자연변화가 아니라, 인류가 배출한 온실가스의 직접적인 결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210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해수면이 최대 1미터 가까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한다. 이는 방글라데시, 인도, 네덜란드, 태국, 베트남과 같은 저지대 국가뿐 아니라, 한국의 인천 연안과 서남해 지역에도 중대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된다. 국립기상과학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주요 연안의 평균 해수면은 1990년대 이후 매년 약 4.4mm씩 상승 중이다.

      이러한 변화는 이미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방콕·자카르타·마이애미 등 세계 주요 도시들은 잦은 침수 피해로 도시 기능이 마비되는 사태를 겪고 있으며, 일부 지역은 토양 염분 증가로 농업 생산성까지 급격히 하락하고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는 도시의 약 40%가 이미 해수면 아래로 내려앉았고, 정부가 수도를 보르네오섬으로 이전하는 결정을 내릴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해수면 상승은 단순한 물리적 범람 문제를 넘어, 인류의 거주 형태와 사회경제 구조까지 바꾸는 복합적 재난으로 작용한다. 해안 침수로 인한 주거지 상실은 대규모 기후 이주를 촉발하고, 보험·부동산 시장에도 직접적인 타격을 준다. 세계은행은 2050년까지 해안침식 및 침수로 인해 약 2억 명 이상이 거주지를 잃을 수 있다고 추산했다.

      도시 기반시설 또한 취약하다. 도로·지하철·하수도 등 지반 기반 시설은 염분 피해에 취약해, 일단 침수되면 복구비용이 급증한다. 특히 저소득층 거주지역은 방재 인프라가 부족해 피해가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점에서 해수면 상승은 단순한 환경문제가 아니라, 명백한 사회적 불평등 문제이기도 하다.

      국제사회는 대응에 나서고 있다. 유럽연합(EU)은 2025년부터 ‘연안 복원 전략(Blue Infrastructure Initiative)’을 본격 시행해 해안 습지와 맹그로브 복원을 추진 중이다. 이는 자연 생태계를 활용한 완충지대를 만들어 해수면 상승의 직접적 피해를 줄이려는 시도다. 일본 역시 도쿄만 일대를 대상으로 해안 방재 벨트를 강화하고 있으며, 한국도 해수면 모니터링 위성 ‘천리안 2B호’ 자료를 기반으로 장기 연안 관측 체계를 확충하고 있다.

      하지만 근본 해법은 여전히 온실가스 감축에 있다. 국제기후변화정부간협의체(IPCC)는 “기온 상승을 1.5도 이하로 억제하지 못할 경우, 해수면 상승은 수세기 동안 되돌릴 수 없는 변화가 된다”고 경고했다. 해수면 상승은 단기간에 해결될 수 없는 ‘느리지만 확실한 재난’으로, 지금의 대응이 미래 세대의 생존선을 결정짓게 된다.


      결국 문제는 선택의 시점에 있다. 우리는 해안선을 잃을 것인가, 아니면 정책과 기술, 국제협력을 통해 새로운 방파제를 세울 것인가. 해수면 상승의 그래프는 지금 이 순간에도 오르고 있다. 그 곡선을 완만하게 만들 수 있을지는, 인류의 결단에 달려 있다.
      출처 NOAA Climategov
      출처: NOAA Climate.gov
    Copyrights ⓒ 더딜리버리 & www.thedelivery.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더딜리버리로고

대표자명 : 김민성 , 상호 : 주식회사 더딜리버리 , 주소 : 미사강변한강로 135 나동 211호
발행인 : 김민성, 편집인 : 김대진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민성 , 신문등록번호 : 경기, 아54462
Tel : 010-8968-1183, Fax : 031-699-7994 , Email : tdy0528@naver.com, 사업자등록번호 : 430-86-03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