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을 진 항만의 컨테이너 야적장 전경. 글로벌 물류병목과 비용 상승 리스크를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
2025년 현재, 물류와 공급망 전반에 걸쳐 글로벌 분쟁과 관세 장벽이 구조적 리스크로 자리 잡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홍해 항로를 둘러싼 무력 충돌, 미·중 무역 갈등, 북미 항만의 노사 갈등 등은 기업들의 조달 및 운송 전략에 전방위적인 재설계를 요구하고 있다.
흑해 항로가 폐쇄된 이후, 유럽으로 향하던 물류 흐름은 루마니아·리투아니아 등 대체 항만으로 우회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연과 운송비 상승이 일상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예멘 후티 반군의 공격으로 인해 홍해를 지나는 해상운송 노선마저 불안정해지면서, 다수의 선박이 아프리카 희망봉(케이프루트) 경로로 우회하고 있다. 이는 일반 항로보다 최대 10일 이상 지연되고, 연료비만 수십만 달러가 추가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한편,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충돌은 여전히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다. 이에 따라 미국, 유럽 등 선진국 기업들은 점차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중국에 집중된 조달망에서 벗어나기 위한 ‘근접 조달(nearshoring)’ 전략을 확대하고 있다.
실제로 많은 기업이 베트남, 인도, 멕시코 등으로 생산거점을 이전하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생산비 절감보다는 정치적·물리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러한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최근 글로벌 물류·제조 기업들은 ‘글로벌화 2.0’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이는 과거처럼 효율과 비용만을 우선하던 글로벌 공급망 모델에서 벗어나, 복원력(Resilience) 중심의 분산형 체계를 구축하는 흐름이다.
여기에 더해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 등 환경 규제 리스크도 공급망 설계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유럽으로 수출하는 제조업체들은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배출량을 계산하고, 이에 따른 세금을 납부해야 하며, 이는 곧 물류와 생산의 총비용 구조를 재편하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Deloitte, McKinsey 등 주요 글로벌 컨설팅 기관들은 “2020년대 후반의 공급망 핵심 키워드는 ‘예측’, ‘분산’, ‘디지털화’, ‘저탄소화’”라며, 단일 공급선에 의존하던 기존 모델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다중 조달처 확보, 디지털 예측 시스템 도입, 유연한 운송 루트 설계를 통해 위기 대응 능력을 높이고 있다.
결과적으로, 물류업계는 단순한 ‘비용 절감’ 중심의 산업이 아닌, 지정학·환경·기술 변화에 즉각 대응하는 고도화된 전략 산업으로 전환하고 있다. 글로벌 분쟁과 관세 리스크는 일시적 변수가 아니라, 공급망 설계 자체를 바꾸는 구조적 요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