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택항 인근 BLK 물류센터 옥상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 설비. 총 2.3MW 규모로 연간 약 1,700톤의 탄소를 저감할 수 있다. |
국내 물류업계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와 탄소중립 대응을 위해 기술 도입과 구조 개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의 탄소중립 로드맵과 글로벌 공급망 규제 강화 흐름에 따라, 전기차 보급 확대, 탄소 배출 측정 시스템 구축, 배송망 최적화 등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물류 부문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4%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탄소 다배출 산업이다. 특히 도심 내 소형차 중심의 배송, 장거리 화물 트럭 운행, 항공·해상 운송 등에서 탄소 저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지속돼 왔다.
이에 따라 대형 물류기업들을 중심으로 AI 기반 탄소 실측 시스템을 도입하거나, 친환경 차량 운행 확대, 물류 네트워크 구조 혁신 등 다양한 방식의 탄소 저감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자체 IT 기술을 통해 차량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으며, 일부 택배터미널에는 태양광 발전 설비도 도입했다. 쿠팡 역시 일부 지역에서 전기 배송 차량을 시범 운행하고, 물류센터 내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스마트 전력 관리 시스템을 적용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단순한 환경 캠페인이 아니라, 투자 유치와 글로벌 파트너십 유지에 필수적인 조건이 되고 있다”며, “ESG는 이미 기업 전략의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도 친환경 물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적 장치 마련에 나섰다. 국토교통부는 ‘친환경 물류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환경부는 수소 화물차 보급을 위한 지원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국제적으로도 EU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통해 수출입 기업에 공급망 전반의 탄소 배출 검증을 요구하고 있어, 국내 물류기업들도 전(全) 공급망 차원의 탄소 저감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향후 5년 안에 물류업계의 ESG 대응 수준이 기업 생존을 좌우하는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